비틀즈. 20세기의 가장 놀라운 발명품

폴 매카트니가 한국에 온다. 와우! (글을 다 쓰고 편집까지 끝냈는데 취소되었다고 한다. 에휴!) 안타깝긴 하지만 지금이 1970년이 아니라 2014년임에도 그의 공연 티켓이 단 몇 분 만에 동나는 것을 보면서, 이래서 사람들이 ‘클래식은 영원하다’고 말하는구나 싶었다. 그래서 이번 칼럼은 20세기엔 충격이었고, 21세기엔 클래식이 되어버린 비틀즈에 대해 써보려 한다. 물론 이 짧은 지면에 비틀즈를 ‘쓴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비틀즈의 음악이 세상과 사람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기 시작하자면, 최소한 성경책 한 권 이상의 분량은 나올 것이다. 이번 칼럼은 내용이나 깊이 모두 부족할 수밖에 없겠지만, 나뿐만 아니라 그 누구라도 비틀즈를 음악이 아닌 ‘언어’로는 제대로 설명해 낼 수 없다고 나는 확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틀즈가 있었다. 그리고 비틀즈에는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이라는 두 개의 심장이 있었다.

시대라는 관객이 요청한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의 하루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 미리 밝혀두지만 둘은 ‘전혀 다른 사람’이었다. 태어난 가정의 환경이 달랐고, 추구하는 음악도 성격도 말투도 모두 달랐다. 비틀즈를 결성하기 전까지 그들은 전혀 다른 과거를 산 아티스트였다. 그래서 그들에게 비틀즈는 찰나의 순간일 뿐이었다.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두 사람의 갈등을 두고 온갖 음모의 소설을 쓰고 있지만, 어쩌면 비틀즈는 시대라는 관객의 요청에 의해 두 명의 천재가 만난 ‘하루’ 였는지도 모른다. 그 하루 동안 폴 매카트니와 존 레논은 비틀즈라는 교차로 카페에서 대화를 나눈 후에 걸어왔던 길의 종착지를 따라 각자의 내일로 다시 걸어갔다. 물론 교차로에서 그들이 나눈 하루의 대화를 20세기의 신앙과도 같은 음악으로 남겨두고서.

 
 
 

혁명가와 시인, 만나줘서 고맙다.

마법사였던 존 레논은 마녀 오노 요코의 손을 잡고 국가와 전쟁과 신앙과 돈의 구분이 없는 ‘IMAGINE’의 나라로 향하는 길을 걷다가 혁명가가 되어 죽었다. 폴 매카트니는 성모 마리아와 기사의 작위까지 내려주신 엘리자베스 여왕의 품 안, 저택에서 아름다운 사랑 노래를 만드는 시인이 되어 ‘LET IT BE’ 순리에 따라 인생을 살았고, 지금도 살고 있다. 누가 더 옳고, 훌륭한가를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혁명가 존 레논’과 ‘시인 폴 매카트니’가 만나 비틀즈라는 이름으로 보냈던 어제의 하루가, 이제 우리에겐 그립고 아름다웠던 Yesterday가 되었다.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 서로 만나줘서 고맙다. 둘이 이야기를 나눠줘서 고맙다. 그 기록을 오늘도 읽고 들을 수 있게 해주어서, 그리고 당신들의 대화를 내일 우리의 후손들에게 들려줄 수 있게 해주어서, 정말 고맙다.